티스토리 뷰

목차



    오는 6월 청년도약계좌 출시를 앞두고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 어떤 것이 더 이득이 될지 고민이 되시는 분들 많으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라면 청년도약계좌에 중복가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을 비교해 보고, 포스팅 하단에서는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 수령액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는 방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Q&A로 알아보는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놓치면 후회하는 청년도약계좌 자세히 살펴보기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에 출시예정이기 때문에 세부내용은 아직 정확하게 공고되지 않았으나, 지금까지 언론에 발표된 내용을 바탕으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특징을 간단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총급여 7,500만원 이하 3,600만원 이하
    가구소득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없음
    월납입액 최대 70만원 최대 50만원
    만기 5년 2년
    매칭비율 3~6% 3%
    정부기여금 월 최대 2.4만원
    (5년 : 144만원)
    만기 때 1회 
    최대 36만원
    금리수준 미정 기본금리 연 5%
    + 우대금리 최대
    특별해지 사망, 해외이주, 퇴직, 폐업 등
    + 생애최초주택구입
    사망, 해외이주, 퇴직, 폐업은 같으나
    생애최초주택구입 제외

     

    공통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큰 공통점은 두 상품 모두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비과세 혜택은 이자수익에 세금을 매기지 않기 때문에 돌려받는 금액에 보탬이 될 수 있습니다.

     

    ✅ 가입대상 : 청년(만 19~34세)

    ✅ 비과세 : 15.4% (이자소득세, 농어촌특별세) 비과세

    ✅ 기본상품 : 적금

    ✅ 중도해지 : 여부가능. 단, 일반해지 시 본인 납입금만 수령

     

     

    차이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입대상이 더 늘어났다는 점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개인소득 3,6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였던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7,500만 원 이하로 기준을 완화시켜 대상자가 더 많아졌는데요. 

     

    그 외에도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만기가 2년인 청년희망저축에 비해 만기가 5년으로 길어졌으며, 월 납입액도 청년도약계좌는 연소득에 관계없이 최대 70만 원까지, 청년희망적금은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아직 미확정인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는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공개된 정보들을 토대로 비교해 보았을 때, 청년희망적금에 만기가 된 다음 다시 청년도약계좌를 들게 되면 어느 정도 목돈이 마련되어 있을 시기이니 더 저축하기가 편리할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가 올해 한 번으로 끝날 사업이 아닐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을 만기까지 채운뒤에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면 오히려 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단, 청년희망적금보다 만기가 길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입이 없는 청년이라면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니,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를 비교하실 때 이 부분을 고려하셔서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수령액 계산 예시

    청년도약계좌는 연봉이 낮을수록 정부의 기여금 매칭비율이 많아지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연봉 2,400만 원인 사람이 청년도약계좌에 40만 원을 납입한다면 정부에서는 이 금액의 6%인 24,000원을 추가로 적립해 줍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구조

     

    연봉이 낮을수록 정부의 기여금이 많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봉이 높아 정부기여금이 낮은 3% 구간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연봉 6천만 원, 월 납입금 70만 원, 적금기간 5년, 이율 6% 적용 시

     

    • 원금 : 70만 원 x 60개월 = 4,200만 원

    • 이자 : 6,405,000원(세전)

    • 정부기여금 : 2.1만 원 x 60개월 = 126만 원

    • 총합계 : 49,665,000원

     

    청년도약계좌 수령액 계산

     

    📌 개인소득에 따른 납입금액별 만기 시 수령액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하시면 청년도약계좌 수령액 자동계산이 가능합니다. 엑셀표를 활용하여 자신의 개인소득에 해당하는 칸에 적금금액만 입력하시면 만기 시 수령액을 자동계산해서 알아볼 수 있으니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수령액 자동 계산기.cell
    0.01MB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유의할 사항

    청년도약계좌가 혜택이 좋아서 이득일 수가 있지만, 무턱대고 가입하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많은 인기를 끌었던 것과 대비하여 출시 7개월 만에 30만 명이 중도해지했는데요. 혜택이 좋다고 무조건 가입하기보다 아래의 사항들을 꼼꼼히 체크해 보시고 가입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유의사항

     

    🔎 5년 동안 해지 없이 완납할 수 있는가?

    만기가 길다는 것은 그 기간 동안 목돈이 묶인다는 뜻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중도해지 가능성이 커져서 희망한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만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하게 되면 감면받은 세금을 다시 추징하게 되니 만기까지 잘 이끌고 나갈 수 있을지 체크해봐야 합니다.

     

    내 수입과 지출을 잘 분석해서 저축여력이 충분한지 반드시 확인해봐야 합니다.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여 월 70만 원을 채워 저축하기보다는 40만 원을 납입하여 해지 없이 완납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연소득 6천만 원 초과 시에는 정부지원금을 못 받을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연소득 6천만 원 이하이면서 중위소득이 180% 이하인 경우에 정부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소득이 6천만 원을 넘어서면 비과세 혜택만 적용되고 정부지원금은 받을 수 없게 되어 기대했던 5 천만 원을 만기에 받지 못하게 됩니다.

     

    🔎 소득에 따라 최대납입금액이 달라서 만기 목돈이 5천만 원이 안될 수도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에 따라 납입금액이 달라질 예정입니다. 월 70만 원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지원금과 은행 이자가 더해져서 약 5천만 원의 목돈이 만들어지는 시스템인데요. 월 납입하는 금액이 줄어들면 원금도 줄어들게 될 것이고, 그만큼 만기에 수령하는 금액도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함께 보면 돈되는 정보

     

    📌 빨리 가입할수록 더 좋은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알아보기

    📌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총정리

    📌 청년 월세 지원사업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